2025. 5. 7. 10:02ㆍ선교학 강의
그리스도의 제자화
조귀삼 박사(국제복음주의연핟대학교 총장)
선교의 결과는 제자화를 통해서 나타나야 한다. 제자화에 대한 성경적 원리는 제자들을 향한 주님의 명령에서 나타난다(마 28:18-20). 그리고 초대교회(행 14:21-28)를 통해서 실증되었다.
제자훈련의 개념의 개념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제자란 예수님께 헌신하여 따르는 사람이며, 순종하는 종이며, 배우는 학생이다. 따라서 제자란 자신을 통해서 그리스도께서 사시도록 맡긴 그리스도인을 말한다. 더 나아가서 제자훈련이란 무엇인가?. 제자훈련이란 단순히 의식을 따르는 것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나, 관례를 자세히 가르치는 것이나, 규정된 규칙에 순종하는 것이나, 정규 커리큘럼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자훈련이란 구주(Saviour) 되시고, 주님(Lord) 되시고, 선생(Teacher) 되신 그리스도와의 올바른 관계성을 의미한다. 결국 주님에 대해서는 의심 없는 추종(follower)자가 되어야 하며, 주인에 대해서는 자신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종의 자세가 필요하며, 훌륭한 스승의 가르침에 대해서는 행함으로 배우는 도제(apprentice)의 관계가 중요하다(눅 5:27, 마 11:28-29, 고전 11:1, 히 13:7, 딤전 4:12, 빌 4:9).
성경 속에 나타난 제자훈련의 특성을 살펴보면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다른 신자들을 사랑하는 자이다(요 13:35). 둘째는, 그리스도와 그 말씀을 순종하는 자이다(요 8:31). 세 번째는, 전도에 많은 열매를 맺는 사람을 말한다(요 15:8, 골 1:10).
제자훈련의 조건(눅 14:25-35)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자기를 부인하고 그리스도를 좇는 자이다. 두 번째는, 사람에 대한 관계보다 그리스도에 대한 관계를 우선순위로 두는 자이다. 세 번째는, 세상 것들로부터 자신을 구별하는 자이다.
선교에 있어서 왜 제자화가 필요한가? 선교는 본질적으로 문화의 가장 깊이에 자리 잡은 세계관을 해체하는 것이다. 타종교나 예수님에 반한 문화를 가진 세계관을 그리스도의 세계관으로 바꾸는 작업이야 말로 진정한 선교의 열매가 맺어지기 때문이다.
'선교학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음 증거의 세가지 요소 (2) | 2024.11.26 |
---|---|
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2) | 2024.11.13 |
하나님을 알지 못한 사람들에게 나아간 선교 (0) | 2024.06.13 |
정치적 경계를 넘는 선교 (0) | 2024.03.19 |
지리적 경계를 넘는 선교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