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5)
-
사도 바울의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원
사도 바울의 유대인과 이방인들을 향한 선교적 구원 이해 조귀삼 박사( 전 한세대 교수, 현 세계다문화진흥원 원장) 바울의 이방인과 유대인의 구원이해는 로마서 11장 25-32절에 담겨있다. 이 구절은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부분은 바울이 로마 교인 들에게 알려 주기를 원하는 비밀의 내용, 곧 일부 이스라엘백성들의 불신앙, 이방인 선교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의 미래적 구원과의 연관성이다. 둘째는, 이 비밀(계시)이 이미 부분적으로 구약의 선지자들을 통해서 예언되었던 것을 성경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구약의 인용을 말한 것이다. 셋째는, 이 비밀은 하나님의 언약의 성실성과 긍휼하심에 근거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과 이방인의 구원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론에 이르기 전에 바울은 로마서 3:..
2020.07.27 -
사도 바울이 본 구원의 대상
사도 바울이 본 구원의 대상 조귀삼 박사(전 한세대 교수, 현 세계다문화진흥원 원장) 선교의 대위 임령엔“모든 족속”에게 구원이 필요함을 언급하고 있다. 타락한 인간들이 예수를 믿고 구원을 받아야 함은 당연한 하나님의 선교 목적이다.. 바울 당시의 유대인들은 구원이 이방인에게도 주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이해의 폭이 넓지 않았다. 따라서 이방인의 구원 문제는 선교신학의 이슈 가운데 하나이다. 이방인에 대한 예수님의 태도는 분명했다. 즉 칠십 인의 전도자 파송에서 볼 수 있듯이(눅(눅 10:1) 세계의 모든 족속(마 28:19-20, 막 16:15, 눅 24:27, 행 1:8)이 구원을 받아야 할 것을 제자들에게 가르치셨다. 주님의 이러한 선교적 뜻을 가장 잘 받들면서 선교하셨던 분이 바울이다. 바울의 선교에..
2020.07.02 -
하나님의 뜻은 인간의 구원
하나님의 뜻은 인간의 구원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하나님의 뜻을 묻는 사람들이 많다. 하나님의 뜻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오히려 그분의 뜻을 거스리는 일을 할 때가 많다. 복잡하고 힘든 시류 속에서도 2017년을 맞이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우리 성도들은 신앙의 목적인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삶을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하나님의 뜻은 인간을 구원하시는 것이라는 것이다. 오늘 필자는 피터 바이어 하우스가 주장한 세 가지의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해명’에 대한 이론을 소개함을 통해서 하나님의 뜻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자 한다. 첫째는 믿음과 이해이다. 교회가 충만하게 영적으로 성숙하고 싸움을 통해 얻은 성경의 구원 진리 안에 흔들리지 않고 존립하도록 하는 것이 사도의 가르침..
2020.04.18 -
성령에 대한 선교학적 재발견
성령에 대한 선교학적 재발견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성령님과 선교는 늘 밀접한 관계성을 유지하였다. 선교를 성서적 구속사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면, 처음에 인류의 구원을 위해 아들을 보낸 것과 마찬가지로 또한 오순절에 성령을 보내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선교적 선포가 비로소 시작될 수 있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필자는 오늘 피터 바이어 하우스의 “성령에 대한 선교학적 재발견”에 대한 글을 인용하여 글을 엮고자 한다. 선교적선포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성찰은, 이제 우리가 선교에 있어서 성령의 중요한 위치를 동시에 주목할 때만이 선교의 본질이 바르게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선교의 성령론적 특성을 1974년 로잔 대회는 그 신학적 기초 선언 중 하나의 고유한 장(14장)에서 확고히 ..
2020.04.17 -
선교지에서의 구원 선포
선교지에서의 구원 선포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선교지에서 선교사들이 사역할 때에 쟁점 하나가 인간의 구원 문제이다. 성경은 말씀하시기를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말씀은 진리이다. 이 진리야 말로 종교다원주의와 혼합주의를 이글 수 있는 절대적인 무기가 된다. 죄인인 인간이 진노의 심판아래 놓여 있음을 생각할 때, 그의 구속은 그 자신에게서 나올 수 없고, 오직 하나님께로부터만 나올 수 있다. 이것이 실제로 구약과 신약성서의 모든 구원론적 진술의 일관된 진단이다. 모든 구원하는 행동은 하나님을 그 주체로 한다. 인간은 또한 그의 구속에 능동적으로 공헌할 수 없으며, 믿음으로 받아들일 수..
2020.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