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선교(4)
-
교회의 도시 선교
교회의 도시 선교 조귀삼 교수(전 한세대 선교학, 현 웨스트민스터 신대원)) 오늘날 세계 인구의 약 40%가 도시에 살고 있다. 그러나 UN 통계에 의하면 2025년에는 이 숫자가 62%에 달할 것이며, 인구 100만 명 이상인 도시 일곱 개 중에서 다섯 개는 2/3세계 안에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세계의 인구수가 증대될수록 점점 도시화되어가는 것이 세계의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아널드 토인비의 말대로 “이 세계는 거대화된 도시가 되어 갈 것이다”라고 한말이 현실로 우리 앞에 왔음을 알 수 있다. 급속한 도시화는 인간의 삶에 많은 문제점을 던져준다. 공해의 문제, 빈곤의 문제, 청소년들의 타락 문제 등이다. 따라서 도시인들에 대한 선교활동도 새로운 패턴이 개발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된다. ..
2022.10.25 -
바울의 대도시 선교의 현대적 의미
바울의 대도시 선교의 현대적 의미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필자는 지난 학기에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에서 재한 중국인 학생들에게 도시 선교학을 강의한 적이 있다. 이를 통해서 부상하고 있는 중국 대륙의 선교를 위해서 도시선교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지금도 가끔 켐퍼스에서 제자들을 만나면 도시선교의 현대적 적용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고 했다. 우리는 바울의 선교에 관한 그 자신의 이해는 로마서의 끝에 있는 한 본문에 가장 잘 표현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사도행전에서 우리는 바울이 거의 순회 설교자였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몇몇 장소들에서 그가 오랫동안(고린도에서는 일년 반 정도, 에베소에서는 약 3년간 머물렀다) 머물렀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에 옳지 않다...
2020.04.20 -
도시선교의 미래
도시선교의 미래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이제 세계는 점점 도시화되어간다.. 따라서 인구의 집중과 함께 다양한 문제들이 또한 도시에서 발생된다. 즉, 슬럼화의 문제, 인구집중의 문제, 교통문제, 공해문제 등에서 오는 정신적인 방황과 함께 전통적인 가족의 해체로 말미암아 선교의 영역은 너무나 넓어진다. 따라서 21세기의 선교 과제는 엄격히 말해서 도시 선교의 성패에 따라서 교회의 활로가 측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필자는 이제 몇 가지 도시선교의 전략을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도시의 빈민구제 사역을 제언한다. 빈민촌은 도시나 도시의 외곽지역에서 생활이 넉넉하지 못한 사람들이 공동으로 모여서 삶을 정착하는 곳이다. 빈민촌의 주민들이 고통 받고 있는 것은 불완전한 고용의 문제가 가장 큰 요인..
2020.04.14 -
여의도순복음교회의 선교
여의도순복음교회의 선교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기독교의 선교가 지리적, 정치적, 문화적 벽을 넘어서 오늘까지 이르게 된 역사를 보면 시대마다 하나님이 쓰신 교회들이 있었다. 그리고 교회의 중심에는 훌륭한 지도자가 있었다. 즉 초대교회는 안디옥교회와 바울과 바나바가 있었고, 중세의 천년은 동서방 교회에서 유출된 선교의 네 단체(프란시스, 도미니크, 어거스틴, 예수회)들이 활발한 선교를 감당하였고,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에는 영국의 침례교회에서는 윌리암 케리와 미국 교회에서는 알버트 벤자민 심슨 같은 선교지도자들이 있었다. 21세기를 열면서 여의도 순복음교회가 세계적인 교회로 자리 잡고 있음을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이제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세상의 많은 교회 가운데 존재하는 하나의 교회가 아닌 독특..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