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화(3)
-
사도 바울의 문화에 적응하는 선교 원리
사도 바울의 문화에 적응하는 선교 원리 조귀삼 박사( 전 한세대 교수, 현 세계다문화진흥원 원장) 사도 바울의 선교 원리의 발견해 내는 데 있어서 또 하나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적응에의 선교 원리이다. 사도 바울은 당시의 다양한 사회구조와 종교들 속에서 “여러 사람에게 여러 모양(all things to all men)”의 적응을 시도하였다. 이것은 그의 세 번의 설교와(행 13:16-41; 14:15-17; 17:16-31)과 13권의 그의 서신서에 잘 나타나 있다. 빌립보서 2:5-7에 의하면 예수님은 하나님의 본체이시지만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지고 사람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다. “자기를 비우다(ἑκένωσεν)”라는 말은 “자기 자신을 낮추 셨다”라는 말과 같은 말이다. ..
2020.06.03 -
제사의 선교 상황화
제사의 선교 상황화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필자는 지금 대만의 한 호텔에서 이 글을 쓰고 있다. 신학교에서 몇 일째 강의를 하면서 이곳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고 있다. 이곳은 사찰들이 참으로 많다. 대부분의 사찰들은 조상숭배의 영향을 받아서 제사를 드린다. 복음화되지 않는 땅 속에서 진리를 모르고 헤매고 있는 이들의 종교를 보면서 한국의 종교성을 대비해 보고 있다. 조상숭배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들이 있다. 종교의 원초적인 형태가 조상숭배라는 ‘타일러’와 ‘스펜서’와 이와는 의견을 달리하는 ‘뒤르껭’‘뒤르켐’은 문화가 발전한 중국, 이집트, 로마, 희랍 등지에서 발달된 종교의 형태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포티스(M.Fortes)는 조상숭배가 부계사회의 친자관계를 투시한다고 정의하였다..
2020.04.03 -
복음적 상황화에의 제언
복음적 상황화에의 제언 조귀삼(한세대 교수) 복음은 상황화의 과정을 거쳐서 문화 속에 자리 잡게 된다. 하나님의 창조 이후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상황화의 과정을 거쳐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화의 변천 속에서 복음과 상황을 처리하는 문제는 선교사역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상황화 라는 단어는 ‘선교들(missions)’이라는 개념과 함께 복음, 전통, 문화 및 사회적 변화들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1970년대에는 타문화권 속에서 복음 전파와 교회 개척의 원칙을 위해 교육가와 선교학자들 간에 상황화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1972년 세계교회협의회 내에서는 신학교육기금(the Theological Education Fund)의 책임자인 쇼키 코(Shoki Coe)와 Ah..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