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8)
-
이슬람의 한국 유입과 선교적 대안
이슬람의 한국 유입과 선교적 대안 조귀삼 교수(전 한세대 선교학, 현 웨스트민스터 신대원)) 들어가는 말 초대교회 이후에 세계는 불행스럽게도 이슬람이라고 하는 특수한 밭을 가졌다. A.D. 637년을 기점으로 확산된 이슬람교도들은 기독교 세계를 점령해 나갔고, 21세기인 현재 무슬림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돌밭이 되어 버렸다(마 13:1-9). 심지어 기독교 복음의 옥토라 여겼던 한국인의 심적 토양에도 무슬림이 점진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복음을 수성함과 아울러 진리의 말씀으로 그들을 변화시켜야 하는 두 영역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우리의 속담에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知彼知己 百戰百勝)”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그동안 우리의 주변적 요소로만 알았던 이슬람교 대한 이해를 넓힘과 아울러 교회..
2022.10.25 -
세계관 변혁의 선교
세계관 변혁의 선교 조귀삼 교수(전 한세대 선교학/ 현 웨신대 겸임) 들어가는 말 세계관이란 ‘세상을 보는 창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에 어떠한 색이 칠해져 있느냐에 따라서 실체가 달리 보일 수 있다. 선교학자 폴 G. 히버트(Paul G. Hiebert)에 의하면 “세계관이란 어떤 문화의 신앙과 행동 이면에 있는 실재에 대한 기본적 가정이며, 인간 문화의 가장 깊은 곳에 세계관이 자리 잡고 있다”라고” 말했다. 즉 세계관을 통해서 가치체계가 형성되며, 가치체계는 곧 행동양식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진정한 회심은 기독교 세계관이 형성될 때에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고 볼 수 있다. 선교사는 문화가 다른 지역에서 전도대상자를 만나 대화하면서 가장 먼저 분석해야 할 것이 그들의 세계관..
2022.10.04 -
교회의 선교 교육
교회의 선교 교육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선교의 지상 명령인 마태복음 28장 20절에 의하면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라고 기록이 되어있다. 이는 주님의 지상 사역의 대미를 장식하면서 제자들에게 위임하신 중요한 말씀이다. 이로 보건대 주님의 말씀이 증거 되는 모든 곳에서는 ‘가르치는 선교’가 있어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이들 중에서도 하나님의 선교사역을 수임받은 교회는 선교 교육을 통해서 온 천하에 복음을 증거 할 인재들을 양성해야 한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선교 교육의 목적과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선교교육의 어원적 정의 교육(敎育)은 보편적인 의미로 가르치는 것이다. ‘가르치다’라는 말은 ‘가리키다’라는 말과 동의어로 볼 수 있다. 더 나아..
2022.09.28 -
한국교회 교육 선교의 과제와 대안
한국교회 교육 선교의 과제와 대안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교육은 선교를 위한 필수 도구이다. 주님의 지상명령에서도 ‘가르쳐 지키도록’ 요구하고 있음을 볼 때 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마 28:19-20). 교육 선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미션스쿨(Mission School)이다. 이는 학교의 설립 목적이 교육의 측면보다는 전도라는 지상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미션스쿨은 선교사들에 의해서 세워진 것으로 커리큘럼은 채플(예배), 부흥회, 성경 과목, 전도대, 선교회 등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교단에 소속된 교목이 있으며 교단 소속 지도자들로 이사진이 구성되어 있다. 둘째는 기독교학교(Christian Sc..
2022.09.16 -
실업인을 통한 비즈니스 선교전략
실업인을 통한 비즈니스 선교전략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20세기는 선교의 세기이기도 했다. 교단에서 선교를 장려했고, 막 신학 수업을 마치고 사명감으로 충만한 신학생들과 교사, 의사와 같은 사람들은 앞 다투어 세계 곳곳에 복음을 전하러 나갔다. 그러나 이러한 선교의 열정도 국가의 이념에 따라 막히는 경우가 많았다. 사회주의는 물론이거니와 민족자결주의를 부르짖는 국수주의자들에게 막힐 때도 종종 있었다. 이러한 이념적 상황을 극복해 내기 위한 새로운 선교의 패러다임이 실업인을 통한 비즈니스 선교이다. 비즈니스에는 국경이 없다. 자본과 기술 이동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가정 복지를 이루어 낼 수 있는 길이기 때문에 모든 국가에서 환영하고 있다. 필자는 우리 한국에 주어진 경제적인 축복을 선교전..
2022.08.31 -
비(非)거주 선교전략
비(非) 거주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현대선교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선교 전략 가운데 하나가 비(非) 거주(非) 선교사역이다. 비거주 선교사는 전임 해외 선교사이지만 어느 한 지역을 담당하기보다는 사역지의 특성에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하나님의 선교를 성취하는 역할을 감당한다. 특별한 사유인 사역의 종교적 제약으로 인한 특성상 장기간 거주할 수 없거나, 정치적으로 장기간 비자를 받을 수 없거나, 사역 환경이 너무 열악하여 도저히 거주할 형편이 되지 못할 경우에 활용되는 전략적 선교이기도 하다. 비거주 선교의 특징은 미전도 종족의 복음화에 그 사역의 우선권을 두며, 다른 선교기관과의 중복이나 차이를 피하여 사역한다는 점이다. 특히 이들 비거주 선교사는 사역지에서 법적인 거주 금..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