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8)
-
캠퍼스 선교
캠퍼스 선교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어느 사회에서든지 학생은 미래의 자산이자 소중한 가치를 지닌 존재로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선교에 있어서도 학생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번 호에서 세계의 선교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던 캠퍼스 사역들을 더듬어 보면서 한국교회가 지향해야 할 캠퍼스 선교를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1. 캠퍼스 선교의 시원 역사적으로 기독 대학생들은 부흥운동에 역동성을 불어넣는 역할을 해왔다. 초대교회와 중세 교회의 수도원을 중심으로 일어난 복음운동은 종교개혁 이후 18세기에 이르러 대학가에서 기독학생운동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기독학생운동의 시발지는 역사적으로 볼 때 18세기의 영국의 옥스퍼드대학(The University of Oxford)이..
2022.06.29 -
전문인 일터 선교사 육성
전문인 일터 선교사 육성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인간에게 있어서 삶의 자리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사람들은 각자 삶의 자리에서 자신의 발전을 도모하고 가족을 책임지고 사회에 봉사하면서 살아간다. 우리가 삶의 자리를 생각하다 보면 자연스레 직업 또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직업은 곧 전문성과 연결되는데, 21세기 사회의 특징적인 요소는 빠른 속도와 투명성 그리고 전문성이다. 세계선교의 현장을 살펴보면 전문성을 가진 사역자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 물론 선교의 전문성은 말씀을 옳게 해석하여 복음을 증거하고 신앙을 일으켜서 주님의 제자로 삼는 일련의 일들에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통칭 전문인 사역자란 ‘신학을 전공하여 목사 안수를 받고 선교사로 투입된 사역자’가 아닌, ‘자신의 달란트..
2022.05.18 -
교회의 선교와 재정정책
교회의 선교와 재정정책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선교에 있어서 재정정책을 잘 세우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정은 신앙의 기조와 상반된다는 관념을 가진 성도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그들은 ‘돈은 일만 악의 뿌리가 된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대한 신학자인 칼빈은 “많이 벌어라, 그리고 주님을 위해 사용하라!”라는 말을 남겼다. 이처럼 선교와 재정 역시 철로의 두 레일과 같이 동시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잘 알려져 있듯 현재 한국의 선교사 파송 현황은 세계 2위이다. 복음이 들어온 지 200년도 채 안된 점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자축할 일이기도 하지만 그에 비례하여 선교비 지출 또한 만만치 않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재정정책은 한국 선..
2022.04.28 -
한류(韓流)의 선교적용
한류(韓流)의 선교 적용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필자는 오래전부터 한류(韓流)의 선교적 적용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왔다.. 한류란 다양한 한국의 문화가 해외의 모든 지역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나가는 흐름을 말한다. 한류는 다양한 삶의 양태를 지니고 있는 지구촌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불러 한국을 주목하게 만들었다. 이제 한국교회는 이를 통해서 선교전략을 만들어 내어야 할 것이다. 이에 필자는 한국교회가 한류를 선교적 도구로 삼을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1. 한류의 주변국 확산 한류의 확산은 특히 우리나라의 주변 국가인 일본과 중화권 속에 파고들고 있다. 이것은 일종의 국가적 행운이자 문화가 경제와 사회를 선도하는 21세기 문명의 새로운 흐름이다. 문화평론가 김수이 씨는 이에 대해서 “..
2022.03.21 -
교회의 실버 미션 제안
교회의 실버 미션 제안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1. 실버 미션의 정의 은퇴를 고려 중이거나 이미 은퇴한 신실한 기독교인 가운데, 여생을 하나님께 바치기 위해 선교지를 찾아 복음을 전하는 실버 선교사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들은 축적된 전문적인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현지 선교사들을 위한 협력자나 조언자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단독 사역을 하기도 한다. 필자가 실버 미션이라는 주제를 논하고자 하는 것은 이미 노인문제가 한국 사회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최근 매스컴을 통해 2050년에는 한국의 고령화가 세계의 최고 수준이 될 것이라는 통계자료가 발표되기도 하였다. 오늘날 산업화, 도시화로 표현되는 현대화 과정에서 가족구조의 변화와 가치관․생활양식의 변화가 나타나면서 다양한 노인문제가 파생되..
2022.02.23 -
중도포기 없는 선교사 관리
중도포기 없는 선교사 관리 조귀삼 교수(한세대 선교학) 들어가는 말 선교는 하나님이 주신 귀한 직임이다. 그러나 모든 선교사들이 끝까지 그 소명을 이어가는 것은 아니다. 안타깝게도 중도에 사역을 포기하고 다른 길을 걷게 되는 선교사들을 보기도 한다. 한국교회 파송 선교사가 22,000명이 넘는 현실 속에서 한 번쯤 짚어 보아야 할 주제가 바로 선교사의 중도포기 문제가 아닐까. 실제로 선교사들이 중도에 사역을 포기함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또한 선교사를 파송하는 성도들의 마음에 선교의 불을 소멸시켜 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직시하며 필자는 중도포기의 원인과 이에 대한 대책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
2022.01.20